티스토리 뷰

source: Cloud Computing: Theory and Practice, Dan Marinescu, ISBN-13: 978-0124046276, ISBN-10: 0124046274

p.285

Brawny cores still beat wimpy cores, most of the time, Urs Hölzle

https://storage.googleapis.com/pub-tools-public-publication-data/pdf/36448.pdf

 

1. Brawny

싱글 코어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성능이 뛰어남.

전력power 소비가 더 많음.

 

2. Wimpy

싱글 코어 기준으로 상대적으로 성능이 나쁨.

전력 소비가 더 적음.

Wimpy 코어 상에서 task를 수행하면 많은 수의 스레드가 필요함. 그러므로 구현 상에 두 가지 어려움이 생김. 

첫번째로는 어플리케이션을 명시적으로 병렬화explicit parallelization of the application 하도록 코드를 짜야 하므로, 어플리케이션 개발의 비용이 높아짐.

두번째로는 여러 스레드를 동시에 실행하면 응답시간이 늘어남. increases the response time.

많은 경우에 다음 알고리즘 단계가 수행 되기 전에 모든 스레드가 종료되어야만 함. 이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 중 하나는barrier-synchronization이 있음. 쉽게 말하자면 모든 스레드가 가장 느린 스레드를 기다려야만 함.

 

wimpy 코어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비용이 증가 할 수도 있음. 예를 들어 커널과 시스템 프로세스가 증가하여 전체적인 메모리를 더 많이 사용하면, DRAM의 비용이 증가함. 만약 어플리케이션이 메모리에 연관된 데이터 구조를 사용한다면 싱글 browny 코어 보다 wimpy 멀티코어에 탑재되어야 할 수도 있음.

 

많은 수의 스레드를 관리하게 되면 scheduling에 오버헤드가 증가하여 성능을 감소시킴.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ache Interference  (0) 2022.01.04
Cache Pollution  (0) 2022.01.03
Time Sharing  (0) 2022.01.03
Data Striping  (0) 2021.12.30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